분류 전체보기2646 경기도, 새해 추진되는 1인 가구 정책 살펴보니 [1코노미뉴스=안유리나 기자] 경기도가 늘어나는 1인 가구 속도에 발맞춰 2022년 1인 가구 정책 지원을 넓힌다. 경기도는 2022년 추진 정책 가운데 1인 가구를 포함하고 지원 사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도는 1인 가구 지원 항목에 재무·경제교육 및 개인 재무상담을 추가하고 종전 운영 중이던 중장년 수다살롱, 식생활 개선 다이닝, 건강 돌봄 프로그램 등은 올해도 운영한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기존 운영됐던 1인 가구 지원 사업을 10개 시·군으로 확대 지원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의정부, 하남, 안성, 광명 4개 시에서 1인 가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 바 있다. 1인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자 범위를 넓힌 것으로 해석된다. 우선 도는 올해부터 재무·경제 교육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생애주기.. 2022. 1. 5. 2022년 구독료·주거비 등 줄줄이 인상에 1인 가구 '울상'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올해 1인 가구의 가계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월세가격 상승, 전기세·가스비 등 공과금 인상에 각종 구독서비스 요금도 잇따라 올라서다. 5일 KB부동산 월간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월세지수는 109.4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5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만 5.47포인트나 급증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가격은 한국부동산원 자료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124만1000원을 기록, 전년 말보다 10.11% 올랐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주거비 부담이 크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중 주거·수도·광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5%나 된다. 다인 가구보다 7.6%포인트나 높다. 또 1인 가구는 부채의 29.6%가 임대보증.. 2022. 1. 5. [나음 칼럼] 냄비를 닦으며 [1코노미뉴스=강한진 나음연구소 소장] 아차 하며 달려가 불을 껐으나 이미 늦었다. 탄 냄새와 연기가 집안에 가득하다. 냄비 속은 시커먼 숱이 됐다. 간단히 요기할 요량으로 냄비를 불에 올려놓고 잠시 딴짓하다가 벌어진 소동이다. 갑자기 화가 난다. 요즘 들어 이런 일이 잦아져서다. 아내가 가끔 그러더니 나도 점점 그런다. 앞뒤 창문을 한참 열어 두어도 냄새는 쉽게 빠지지 않는다. 더 신경 쓰이는 것은 아내의 짜증. 아끼는 냄비만 골라 태워 먹으니 그럴 만도 하다. 그렇게 태운 냄비의 뒤처리는 모두 내 몫이다. 아내는 손목이 매우 약하다. 골격이 약한 데다가 산후조리도 제대로 못 해서인지 바람만 불어도 아파한다. 류머티즘을 앓고부터는 무거운 일, 힘쓰는 일은 아예 내 몫이 되었다. 무 썰기부터 손목의 힘을.. 2022. 1. 5. [기자수첩] '혼삶' 주제로 다룬 에세이 넘쳐나는 까닭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주도적인 삶을 추구하지만 때때로 외롭다. 하지만 외롭지 않으냐는 말은 가장 듣기 싫은 질문 중 하나다. 현실 속 1인 가구 얘기다. 서점가에는 1인 가구를 주제로 다룬 도서가 인기다. 주로 에세이로 분류된다. 이런 에세이는 혼삶의 복잡한 심리 상태를 교묘하게 건드린다. 스스로 1인 가구의 삶을 선택했지만 늘 뭔가 허전한 빈 공간을 가벼우면서 묵직하게 채워준다. 자발적인 1인 가구에 꼭 필요한 심리 상담을 마치 이웃집 할머니가 전달하듯 그렇게 소소하게 녹여낸다. 대체로 자유로운 삶을 다룬 책이나 냉혹한 세상에서 스스로 다독이고, '나'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기 위한 조언이 담긴 책들이 즐비하다. 가볍게 서서 읽기도 하고 서점 한쪽에서 짧은 시간 속독하기도 한다. '혼자.. 2022. 1. 5.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