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 정책470

[6.17대책] 수도권 꽁꽁 묶고 전세대출 규제 강화 법인 보유 주택 종부세 부담 인상 재건축 쪼개기 '차단'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정부의 강력한 투기근절 의지에도 여전히 집값을 올리는 투기세력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투기수요 근절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17일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6.17 부동산 대책의 최대 관심사는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범위다. 정부는 오는 19일부터 경기, 인천, 대전, 청주 중 일부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한다. 경기권 일부 제외 지역은 김포, 파주, 연천, 동두천, 포천, 가평, 양평, 여주, 이천, 용인처인(포곡읍, 모현·백암·양지면, 원삼면 가재월·사암·미평·좌항·두창·맹리), 광주(초월·곤지암읍, 도척·퇴촌·남종·남한산성면), 남양주(화도읍·수동면·.. 2020. 6. 17.
성동구, 취약지역 여성 1인 가구 '안심홈 4종 키트' 설치 지원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성동구는 취약지역 여성 1인 가구의 안전망 구축을 위해 '안심홈 4종 키트' 설치 지원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구는 서울시 주관 '2020 여성 안심마을 사업' 공모에서 여성 1인 가구 SS(Safe Single)존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여성 1인 가구를 대상으로 100여 가구에 집안 내 잠금장치 등 4종의 안심장치를 지원하고 여성 1인 점포에는 '안심 벨'을 설치한다. 4종 안심장치로는 이중 잠금 장치인 '현관문보조키', 바깥에서 창문을 열고 들어올경우 경보음과 함께 지인에게 문자가 전송되는 '문열림센서', 창문을 통해 집으로 무단 침입을 막아주는 '창문잠금장치', '방범창'으로 구성됐다. 오는 7월 중순부터 성동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내 1.. 2020. 6. 15.
1인 가구 '노인빈곤' 우려…국민연금 개혁 등 대책 필요 섣부른 노후자금 투자로 '손실'만 수두룩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결혼을 하지 않는 2030세대의 증가, 늘어나는 이혼율 등으로 30년 후 우리나라는 10집 중 4집(37.3%)이 1인 가구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중 60세 이상 고령의 1인 가구가 56.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속 고령화 시대를 사는 1인 가구는 '노후빈곤'을 걱정하고 있다. 국민연금제도가 있지만 가입자들 대부분은 퇴직 후 연금을 제대로 받을 수 있겠냐는 불안감을 갖고 있다. 여기에 금융 전문가들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합쳐도 노후생활비를 충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경제적으로 여력이 없는 1인 가구의 경우 노후빈곤에 대한 걱정이 다인 가구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노후에 대비한 저축이나 재테크가.. 2020. 6. 12.
1인 가구 청년 대상 지원책 쏟아진다...수도권 정책, 뭐가 있나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늘어나는 1인 가구에 서울시가 정책 마련에 분주하다. 서울시는 매월 20만 원씩 최장 10개월 동안 청년 1인 가구의 월세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는 높은 주거비로 고통받고 있는 청년들을 위해 마련된 제도다.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이니만큼 서울 청년 월세 지원은 생애 단 한 번만 가능하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1인 가구 기준중위 소득 120% 이하의 만 19∼39세 청년이면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주택·분양권·입주권 보유자, 재산 총액이나 소유 차량 시가가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사람, 공공주거지원사업 참여자는 신청할 수 없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도 제외된다. 교육급여 수급자는 신청할 수 있다. 서울시에 앞서 부산시에서도 1인 가구 청년을 위한 주거비 지원이 이뤄졌다.. 2020.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