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 정책470 "혼밥 눈치 안 봐요 "... 코로나가 바꾼 직장 점심 풍경 도시락, 띄어 앉기 일상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직장인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혼밥'과 '도시락' 식사 문화가 자연스러운 일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직원 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내식당에는 대면을 막는 칸막이가 설치됐고, 사무실 내 개별 도시락이나 배달 식사를 허용하는 등 점심시간에도 위생과 안전을 중시하는 모습이다. 여의도 한 기업 구내식당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있기 전에는 같은 부서나 팀원끼리 삼삼오오 모여 밥을 먹고, 지인을 만나면 옆자리로 이동해 식사를 하곤 했는데 다 옛이야기가 됐다"며 "요즘은 간격을 유지해 밥을 먹다 보니 식사시간에도 식당도 조용하다. 어느 순간 여럿이 어울려 식사를 하는 게 오히려 어색해졌을 정도다"고 말했다. 광화문 인근 중견기업에 다니는.. 2020. 10. 7. '노인 일자리 사업' 한계 드러나…"단기 알바 문제, 제도 개선 시급" 공공형 일자리, 사고 늘고 중도 이탈 속출 2060년, 국민 10명 중 4명은 노인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노인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 '숫자' 늘리기에만 급급한 땜질식 처방이 한계를 드러냈다. 노인 일자리 안전사고는 4년 사이 4배가량 증가했고, 중도 포기자 역시 속출했다. 부실한 노인 일자리 대책은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장기화와 겹치면서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812만5000명이다. 전체 인구의 15.7%에 달한다. 노인 인구는 앞으로 더욱 늘어 5년 후엔 20%를 넘어서고 2060년에는 43.9%를 기록할 전망이다. 노인 인구 증가로 고령자 가구 역시 급증이 예상된다. 가구주 연령이 6.. 2020. 10. 7. 코로나19 겹친 고독사 문제 어쩌나…사물인터넷(IoT)으로 해결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가족 없이 홀로 생활하는 1인 가구는 고독사라는 사회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이들은 특히 취약계층이나 정신·신체적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 고독사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최근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1인 가구 고독사 위험 또한 높이고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는 사물인터넷(IoT)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고독사 예방에 나섰다. ◇종로구, 스마트밴드 활용한 고독사 예방 서울 종로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고독사 문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밴드를 이용해 고독사를 예방하는 '사직동고동락' 사업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스마트밴드는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작됐.. 2020. 10. 6. '혼자'가 좋은 30대‥1인 가구 정책 '인식 변화' 주목해야 여성, 경제력 있어도 '비혼' 원해…남성, '집·일자리' 갖춰져야 '결혼' "삶의 안정감 줘야 2인 이상 다인 가구 전환"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1인 가구 600만 시대. 전문가들은 1인 가구 급증을 예상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도 있지만, 젊은층을 중심으로 '비혼'이 늘면서 1인 가구가 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인구수를 늘리기 위한 정부 정책은 물론 트렌드에 민감한 산업계도 '30대의 인식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사회적으로 독립된 삶을 살기 시작한 30대. 결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인구보건복지협회가 전국 30대 미혼 남녀 각 500명씩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비혼' 성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하거나 재정적으로 여유 .. 2020. 10. 5. 이전 1 ··· 76 77 78 79 80 81 82 ··· 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