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46 새로운 식구 또 다른 가족 '어느가족_은평', 사회주택 가보니 입주자 "역세권 넓은 주택" 주거안정과 주거권 보장 "삶의 질이 높아졌다. 안전에 민감한 여성 1인 가구에 제격이다. 자신만의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한 임대료를 지불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좋은 점이다" 지난 2일 서울시 은평구 증산동의 사회주택 (서울시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에서 만난 시설 관계자의 말이다. 증산동 어느가족_은평은 서울시 SH공사에서 리모델링을 지원하고 민간 임대 사업자가 시설 관리 운영하는 사회주택이다. 사회주택이란 자치단체가 구입한 부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사업자에게 빌려주면 사업자가 임대주택을 건설해 시세보다 낮은 비용으로 저소득층에게 빌려 주는 주택 제도를 말한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청년세대의 주거비 부담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주거안정과 주거권을 보장하는 지속가능한 주거대안으로.. 2021. 12. 3. [1인 가구 생활금융] 본격화하는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주의사항은? #. 20대 사회초년생 강준석(28. 가명)는 재테크를 위한 투자처를 찾다가 해외주식거래를 알게 됐다. 강씨는 생활비를 내고 남은 돈으로 투자해 수익을 내면서 위험부담은 줄이고 싶은 마음이다. 목돈이 부족한 강씨의 선택은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다. 고가의 글로벌 기업 주식을 소규모 투자금으로 매수하고 이를 통해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해서다.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최근 목돈이 부족한 20·30세대 사이에서 해외주식 소수점 투자가 인기다. 스타벅스, 나이키,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구글, 테슬라, 애플 등 친숙하지만 고가의 해외주식을 소수점 단위로 주문해 수익을 내는 거래 방식이다. 예를 들어 주당 1000만원이 넘는 테슬라 주식 1주를 개인투자자 A가 0.4주, B가 0.3주 C가 0.2주.. 2021. 12. 3. [정희선 칼럼] 생산인구 14% 감소, 80세 넘어도 일하는 일본 [1코노미뉴스=정희선 칼럼니스트] 며칠 전 발표된 일본 총무성이 실시한 2020년 국세조사 결과, 일본 전체의 생산연령인구 (15~64세)는 2020년 7509만명으로 생산인구가 가장 많았던 1995년의 8716만명에 비해 13.9% 줄었다. 25년만에 1200만명의 생산인구가 감소한 것이다. 생산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59.5%로 1950년 이후 70년 만에 60% 이하로 떨어졌다. 고령화율 또한 28.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11.9%로 세계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들고 앞으로도 증가할 여지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고령층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일본 기업과 사회에 있어 커다란 과제가 되고 있다. 가전제품 양판점인 노지마 (NOJIM.. 2021. 12. 3. 달라진 자취방 풍경…1인 가구, 럭셔리·미니멀 인테리어 추구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예쁘게 꾸며놓은 내 집, 자랑하고 싶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 누군가를 초대해 보여주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유행하기 시작한 랜선 집들이. 이제는 유행을 넘어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 랜선 집들이 경쟁에는 1인 가구도 합류했다. 이들은 작지만 소중한 나만의 공간을 실용적이면서도 개성 넘치게 꾸며내고 있다. 잠만 자던 자취방에 럭셔리와 미니멀을 더하니 호텔 안 부럽게 변했다. 최근 이사 후 랜선 집들이를 한 유슬혜(23. 가명)씨는 "작지만 예쁜 집에 살고 싶어서 랜선 집들이 후기를 엄청 찾아봤다. 감성을 자극하는 소품과 간접 조명, 가구를 이용한 파티션 나누기로 나만의 공간을 완성했더니,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너무나 행복하다"고 전했다. 16.5㎡(5평) 원룸에 거주하는 장신.. 2021. 12. 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6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