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211

[칼럼] 회복력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자 Dr. 우문식의 코로나 위기 극복법③ [1코노미뉴스=우문식 교수] 최근 며칠 동안 발표를 보면 우리나라에선 코로나바이러스19가 어느 정도 안정기에 접어든 느낌을 준다.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코로나19 진압을 위해 자신의 희생을 감수하며 불철주야 최선을 다해 주신 의료인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이제 국민이 어떻게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갈지가 문제다. 두 달 정도의 시간 안에 세상이 너무 많이 변화하였고, 그동안 제한된 공간에서 준 경리 상태에 있다 보니 리듬이 많이 깨졌기 때문이다. 회복력(심리적 근육, 회복탄력성)이 강한 사람들은 훌훌 털어버리고 쉽게 일상에 적응하지만, 회복력이 약한 사람들은 무기력, 불안, 분노, 우울감 등의 심리적 증상을 느끼며 적응하는 데 어려움.. 2020. 4. 20.
[칼럼] 독서와 글쓰기로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허지영 작가 [1코노미뉴스=허지영 작가] 우리는 ‘성장’이라는 말을 좋아한다. 다양한 곳에서 사람들을 만나다 보면 누구나 성장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찾지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멈춰있는 오늘이 아닌,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살아가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나는 독서와 글쓰기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불필요한 일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기기 때문이다. 기준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막연한 기대감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독서와 글쓰기야말로 스스로를 갈고 닦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다.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바라는 삶의 모습이 있다. 바라는 내 모습과 현.. 2020. 4. 20.
[칼럼] 알알이 경영론 : 5년의 시간이 맺는 열매 천기덕 NPO 미래인재청소년인성육성 총장 [1코노미뉴스=천기덕 교수] 미국에서 인생의 경륜이 지긋한 9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의견조사를 했다고 한다. 만일 삶이 다시 주어진다면 어떻게 사시겠습니까? 3가지를 중요한 공통점으로 답했다고 한다. 그 중 첫 번째가 담대한 도전이다. 비핵(BHAG, Big, Hairy, Audacious Goal)이다. 즉, 크고 머리끝이 설 정도로 스릴(Thrill)있고 담대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가장 큰 실수는 실패가 두려워서 도전하지 않는 것'이란 경구가 있다. Robert H. Schuller는 "실패는 당신이 아무것도 성취하지 못했다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 당신이 무엇인가 새로 배웠음을 의미할 뿐이다"라고 긍정론을 폈다. 실수는 더 많은 것을 배울 절호의 소중한 .. 2020. 4. 20.
[칼럼] 사람 차별하는 햄스터 나성재 한국코치협회 코치 [1코노미뉴스=나성재 코치] 집에 1년 넘게 키우고 있는 회색 햄스터가 한 마리가 있다. 아이들 학교 방과 후 과학수업 시간에 분양받아 온 것이다. 필자는 햄스터가 징그럽고 무서워서 잘 쳐다보지도 않았다. 하지만 아이들이 ‘쪼순이’이라는 이름까지 지어주며 애지중지하며 키우고 있다. 그런 덕분인지 지금은 손으로 해바라기 씨앗을 먹이로 주기도 하지만 그래도 아직 만지는 수준까지는 아니다. 얼마 전 큰딸이 햄스터 집을 청소하는데 갑자기 알레르기가 생겨서 재채기를 시작했다. 아내가 오늘만 필자에게 대신 청소를 해달라고 부탁했다. 선뜻 내키지 않았으나 청소를 하려고 뚜껑을 열었다. 하지만 바로 난관에 부딪혔다. 청소를 위해서는 햄스터를 우선 다른 곳으로 옮겨야 했기 때문이다. 햄스터를 차.. 2020.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