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111

"결혼 안 한 것도 죄?"...코로나 5차 재난지원금, 1인 가구 뿔났다 [1코노미뉴스=안유리나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정부에서 지급되는 5차 재난지원금을 놓고 불만의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특히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경우 지급 기준이 연 소득 5000만원으로 정해지면서 또 다른 '싱글세'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정부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을 1인 가구 기준 연소득 5000만원에 해당하는 고소득자를 제외한 전 국민의 88%가 1인당 25만원을 받는 것으로 결정했다. 정부는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을 건강보험료 납부액(6월분)을 기준으로 가구소득 하위 80%까지 1인당 25만원씩 지급하되, 맞벌이·1인 가구에 대해 선정기준을 보완해 178만 가구를 추가했다. 하지만, 소득을 기준으로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을 나눔에 따라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 2021. 7. 26.
1인 가구, 코로나19 걸리면 재택치료 받나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생활치료센터 포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이 재택치료 대상자에 1인 가구를 포함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일단 정부는 당장 재택치료 활성화를 계획하고 있지는 않다고 선을 그었지만, 향후 코로나19 확산 정도에 따라 1인 가구를 재택치료로 전환할 가능성은 남았다. 12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기자 설명회를 통해 "무증상·경증 환자도 생활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게 감염 차단에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다"며 "현재 제도화되고 있는 수준에서 운영을 계속할 뿐, 재택치료를 당장 활성화한다는 계획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소아환자, 부모가 감염됐는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환경 등에 재택치.. 2021. 7. 12.
12일부터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1인 가구 어쩌나 사적모임, 오후 6시 이전 4인 이후 2인까지 허용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지난 8일 1300명을 넘어서며 역대 최다 수치를 재경신했다.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수도권에서만 900명대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정부는 긴급하게 수도권에 사회적거리두기 격상을 결정했다. 거리두기 4단계의 핵심은 외출금지 등 사적모임 통제다. 이에 사회적 단절 영향이 큰 1인 가구의 '코로나 우울' 심화 우려도 나온다. 9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방역이 최대 위기에 처했다"며 "과감한 결단과 신속한 실행만이 답"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수도권 사회적거리두기 단계를 오는 12일부터 2주간 4단.. 2021. 7. 9.
[기자수첩]의미없는 재난지원금 커트라인, 1인 가구 뿔났다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이래도 욕먹고 저래도 욕먹는 것 아니겠어요?" 최근 정부가 내놓은 2차 추경안을 통해 국민지원금 지급 계획을 발표를 놓고 기자가 만난 한 정부 관계자의 말이다. 이는 지급 ‘커트라인’을 놓고 여기저기서 터지는 불만을 의식한 말이기도 하다. 특히 맞벌이가구와 1인 가구 등의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6월분 건강보험료(이달 10일 확정)와 주민등록정보 등을 분석해 이달 말 지원금 커트라인을 확정·발표할 예정이다. 소득 하위 80%를 올해 기준 중위소득의 180%로 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월소득(세전) 기준 △1인 가구 329만원 △2인 가구 556만원 △3인 가구 717만원 △4인 가구 878만원 △5인 가구 1036만원 △6인 가구 1193만.. 2021.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