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 정책470

AI가 외로움 덜어 줄까…'비대면 노인 돌봄' 개발 활기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초고령사회'를 앞둔 우리나라의 난제 중 하나는 '돌봄'이다. 혼자 사는 노인의 정신적 고독감과 자존감 저하로 인한 우울증, 집 안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사고나 통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돌봄 서비스가 요구된다. 그러나 정부 예산과 돌보미 인력 한계로 실제 돌봄 서비스 혜택을 받는 홀몸어르신은 극히 일부다. 실제로 지난해 만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는 153만3000가구를 기록했지만, 정부의 공공 돌봄 서비스 지원 규모는 해당 가구의 30% 수준이다.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원사도 2만6401명에 불과하다. 이에 최근 정부와 지자체, 기업 등은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5G 통.. 2020. 11. 6.
20대 절반 '내년엔 일하고 싶다'…묻지마 창업은 주의해야 최근 1년 내 창업자 86%, 사업 준비 기간 1년 미만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비경제활동인구 청년층의 취업 의지는 얼마나 될까. 20대의 경우 절반에 가까운 48.9%가 1년 이내 취·창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도 39.3%가 의사를 내비쳤다. 5일 통계청이 조사한 '2020년 8월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90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2.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연령별로 보면 15~19세 비경제활동인구는 224만7000명으로 이 중 4.0%가 1년 내 취업 또는 창업 의사가 있다. 전년 동월보다 0.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20~29세는 3.3%포인트 증가한.. 2020. 11. 5.
체감 부족 여성안전 정책…내년 예산도 '찔끔'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2021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가 시작됐다. 예산의 적절성을 두고 여야간 대립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여성안전 관련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여성 1인 가구 수가 300만가구를 넘어섰고, 혼자 사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관련 예산이 부족해서다. 또 'n번방' 사태로 수면 위로 올라온 디지털 성범죄 문제 관련한 예산 역시 소액 증액에 그쳤다. 이에 여성가족부가 여성 관련 사업에 오히려 소극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앞서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실은 2021년도 여가부 정책분야별 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가족, 청소년, 권익증진, 여성 등 4개 사업 중 여성 관련 예산이 가장 적었다고 분석했다. 자료를 보면 여가부의 여성 관련 예산은 972억원이다... 2020. 11. 5.
"1인 가구,임시·일용 근로자 비율 높다"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안정적인 상용근로자 비율은 낮고 임시·일용 근로자 비율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만큼 다인 가구에 비해 고용이 불안정하다는 소리다. 4일 한국사회연구소에서 발행한 10월 정기간행물 '1인 가구의 사회서비스 수요와 시사점'에 따르면 1인 가구 가구주 중 상용근로자는 28.27%, 임시·일용근로자는 17.80%인 반면 다인 가구는 상용근로자가 57.84%로 절반이 넘고, 임시·일용근로자는 5.0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불안정한 경제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한나 부연구위원은 "무직의 비율도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라며 "1인 가구의 고용이 다인 가구에 비해 불안정함을.. 2020.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