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1인가구77

[1인 가구 데이터센터] 서울 30대 여성 1인 가구 65.5% "내 집 필요"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서울 30대 여성 1인 가구의 주택 구매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2019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거현황'에 따르면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현상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57.2%가 주택 보유 필요성을 느꼈다. 30대도 65.5%가 '그렇다'고 답했다. 40대·50대·60대는 각각 63.9%, 66.1%, 78.6%를 기록했다. 2020. 11. 23.
[1인 가구 데이터센터] 서울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 10명 중 3명 '오피스텔·고시원' 거주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서울 30대 이하 여성 1인 가구는 다른 연령대보다 오피스텔과 고시원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2019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거현황'에 따르면 연령대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거주 주택 유형이 상이한 것으로 집계됐다. 먼저 20대는 다가구·단독주택이 37.1%로 가장 많고, 오피스텔이 23.3%로 뒤를 이었다. 다세대주택은 17.6%, 고시원 9.1%, 아파트 6.6%, 기타 6.3%다. 30대는 다가구·단독주택이 24.9%를 차지했고 다세대주택이 24.0%, 오피스텔 23.2%를 기록했다. 이어 아파트 15.9%, 고시원 5.3%, 기타 6.5%다. 40대는 다가구·단독주택이 40.5%, 다세대주택 20.8%, 아파트 20.7%, .. 2020. 11. 23.
[1인 가구 데이터센터] 5년간 서울 여성 1인 가구 평균 4.7% 증가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최근 5년간 서울 여성 1인 가구 수가 연평균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2019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주거현황'에 따르면 2015년~2019년 서울 여성 1인 가구의 연평균 증감율은 4.7%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7.8%로 가장 높았다. 이어 60대 이상이 6.2%로 뒤를 이었고 30대는 3.2%, 40대는 1.8%, 50대는 0.5%로 가장 낮았다. 2020. 11. 23.
[1인 가구 데이터센터] '2020 1인 가구 보고서'…'경제력' 지속 여부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1인 가구의 가장 큰 우려는 경제활동 지속 가능 여부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안전에 대한 걱정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0년 한국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설문조사 응답자의 38.1%가 경제활동 지속 가능 여부를 현재 가장 큰 걱정거리로 꼽았다. 이어 건강 33.6%, 외로움 31.3%, 식사 21.5%, 주거 18.4%, 안전/위협 17.9%, 주위 시선 6.3%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력, 건강, 외로움은 지난해 조사와 마찬가지로 1인 가구의 주된 고민 거리를 차지했다. 안전/위협은 지난해 14.6%에서 3.3%포인트나 증가했다. 여성 1인 가구는 물론 남성 1인 가구 역시 안전에 대해 우려하면서 수치가 높아졌다. 연령대별.. 2020.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