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 정책

"퇴직 후에는 늦다"…중장년 1인 가구 재취업 상담 제공해야

by 1코노미뉴스 2022. 1. 11.

사진=뉴스1/디자인=안지호 기자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 올해 퇴직예정인 성만식(57, 가명)씨는 앞날이 걱정이다. 희망퇴직을 신청해 당분간 소득 걱정은 없지만, 뭐라도 해야지 싶어서 알아보니 딱히 할 수 있는 일도 없어서다. 성씨는 홀몸이라 생활비로 큰돈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언제까지 퇴직금을 까먹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렇다고 고된 일로 몸도 마음도 지치기 싫다. 성씨는 요즘 퇴직 후 재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을 알아보고 있다. 

#. 지난해 퇴직한 강우수(58, 가명)씨는 퇴직 후 쉬면서 자격증 공부도 하고, 일자리도 찾는다는 게 어느덧 1년이 지났다. 퇴직 전에는 언제든 찾아오라던 협력업체는 말이 바뀌었고, 국가에서 하는 일자리는 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이라 별 도움이 안된다. 경력을 살리는 형태도 강씨 같은 사무직 출신에게는 해당이 없었다. 결국 최근 아파트 경비라도 할 생각으로 파견업체에 이력서를 냈다.

#. 박일우(55, 가명)씨는 서울시기술교육원에서 목공 관련 강좌를 수료했다. 평소 취미로 했던 목공 일을 늦었지만 업으로 삼고 싶어서다. 그러나 박씨의 생각과 현실은 달랐다. 장비값에 원자재 가격 등 초기 창업비가 너무 많이 들었다. 함께 수업을 들었던 젊은 친구들의 감성도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어 현실의 벽 앞에 또 한 번 좌절만 겪었다. 언제까지 퇴직금만 까먹을 수 없는 박씨는 마음이 급하다. 

중장년 1인 가구 지원 정책은 돌봄 범위 확대와 일자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령자에 한정되어 있던 각종 돌봄 서비스 지원 대상에 저소득 중장년을 포함하거나, 퇴직 후 소득절벽을 맞는 중장년 1인 가구에게 인생 2모작 기회를 제공하는 형태다.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국가 경제에 보탬이 되는 형태는 일자리다. 그러나 기술이 확실한 전문직 종사자라면 재취업이 용이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새로운 기술을 배워야 한다. 기존 경력을 살리면서 재취업에 성공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중장년 대상 일자리 지원 규모도 적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청년과 고령에 집중되어 있다. 결국 퇴직금을 활용해 창업에 나서거나, 택시운전기사, 아파트 경비 등에 뛰어드는 이들이 많다. 

문제는 사전준비 없는 창업, 부실한 은퇴계획으로 퇴직금을 소모하면서 안정적 노후자금을 확보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실제로 각종 은퇴자 커뮤니티에는 은퇴 선배들은 어떻게 했는지 묻는 글이 많다. 대체로 은퇴 후에 무엇을 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해 도움을 요청하는 글이 많다. 전문적인 경력진단, 재취업 컨설팅을 받아 본 적도 없다. 

우리나라는 2020년 5월부터 퇴직예정자에 대한 재취업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의무화했다. 그러나 이는 대기업에만 해당한다. 결국 대다수이며 재취업 컨설팅이 필요한 중소기업 퇴직자는 아무런 정책적 도움을 받지 못하고 은퇴하고 있는 셈이다. 

중장년층의 빈곤은 결국 노인 빈곤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보면 이는 심각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중장년층 행정통계 결과'를 보면 40~64살 중장년층의 2020년 평균소득은 3692만원으로 전년(3555만원)보다 3.8% 증가했지만, 대출 잔액(중앙값)은 5200만원으로 7.1% 늘었다. 소득보다 빚이 두 배가량 더 늘어난 셈이다. 심지어 유주택 중장년 인구는 전체의 43.1%에 불과하다. 

따라서 안정적 노후생활을 위한 중장년 지원이 요구된다. 

정부도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해 올해 상반기부터 '중장년 새출발 크레딧'을 도입한다. 국민내일배움카드로 중장년의 경력설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만 45~54세 중소기업 재직자라면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한도(300만~500만원) 외 민간 컨설팅 기관에서 사용가능한 중장년 새출발 크레딧 100만원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다. 

고용부는 민간 컨설팅 기관을 통한 심층적 경력진단, 재취업 적합분야 상담, 취업 희망업종의 현직자 그룹 컨설팅 지원 등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김영재 서울사이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정부가 중장년 1인 가구 맞춤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내놓을 필요가 있다. 이들은 기존 복지 정책의 혜택 범위에 있는 청년, 고령층과 달리 사각지대에 놓인 것이 사실"이라며 "신체적으로 충분히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있고, 의지가 있는 저소득 중장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