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65 진위3산단 '배짱공사' 배경, 대우건설-신동아건설 '불법 하도급'이었나 이례적 '종합-종합' 하도급…'셀프승낙' 대우건설, "문제없다"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모든 일에는 원인이 있다. 조성 공사 당시 비산먼지로 인근 주민에게 피해를 줬던 '평택 진위3산업단지'. 이곳은 언론에 공사 실태, 인근 주민의 피해 등이 집중 보도됐지만, 시공사는 이렇다 할 조치 없이 공사를 강행해 '배짱공사'란 오명을 쓴 바 있다. 해당 건설사는 신동아종합건설이다. 이 진위3산업단지가 최근 다시 조명을 받았다. '불법 하도급'이 의심되는 상황이 드러나서다. 평택 진위3일반산업단지는 평택도시공사(20%), 대우건설(20%), 동홍홀딩스(39%), 비와이텍(10%), 아시아신탁(6%), 대신증권(5%)이 지분을 투자한 사업이다. 시행자는 SPC로 설립된 진위3산단주식회사다. 사업시공자는 대우건설.. 2020. 4. 13. 삼성중공업 남준우 사장 뭘 했길래…직원들 '분기탱천' 삼성중공업 직원 "직원들 사기 꺾을 만큼" 공분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에 올라온 삼성중공업 직원들의 글이다 . 이들이 분노한 이유는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이 아들을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전환 배치해서다. 남준우 사장의 아들인 남모씨(33)는 남 사장이 전무 시절인 2014년 삼성중공업에 입사해 6년간 삼성중공업에만 있었다. 하지만 지난 1일, 조선업과 무관한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전환 배치됐다. 삼성중공업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남 사장의 아들이 삼성그룹의 미래성장동력인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옮겨간 사실이 드러나자 직원들은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에 대한 남준우 사장의 태도가 '당당'해 분노는 더 커지는 모양새다. 남 사장을 대변한 삼성중공업 홍보담당자는 "그간 삼성바이오.. 2020. 4. 12. '내 자식부터 빼자' 탈(脫) 삼성중공업…남준우 사장, 아들 전환배치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의 아들이 삼성중공업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전환 배치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중공업이 회생에 실패하면서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사실이 밝혀지자, 직원들 사이에서는 '사장이 회사를 버렸다'는 식의 실망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남 사장의 아들 남 모씨(33)는 지난 1일 삼성바이오로직스 시니어스페셜리스트로 전환배치됐다. 남씨는 아버지인 남준우 사장이 삼성중공업 생산1담당 전무를 맡고 있던 2014년 삼성중공업에 입사해 6년여간 삼성중공업에서 근무했다. 하지만 남 사장의 임기 만료가 다가오면서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전환 배치됐다. 남 사장의 임기는 2021년 1월로, 사실상 올해까지다. 남 사장의 입지가 좁아지자 삼.. 2020. 4. 10. 임블리 상표권 무단 도용 논란에 또다시 '구설수'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지난해 ‘곰팡이 호박즙’ 제조 파동으로 한차례 곤욕을 치른 부건에프엔씨의 온라인 쇼핑몰 '임블리'가 디자이너 브랜드 '블리다' 상표권 무단 도용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또 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임블리 패션기획팀이 지난달 29일 공식 인스타그램에 신상품 '블리다'(VELYDA)를 소개하는 게시글을 게재하며 이 같은 논란이 불거졌다. 블리다는 '임블리'와 '데일리'의 합성어로 임블리가 지난달 말 선보인 신상품이다. 문제가 된 부분은 디자이너 브랜드 '블리다'(VLEEDA)가 보유한 상표권을 임블리 측이 무단으로 도용당했다는 점이다. 블리다 측은 지난 2014년과 2015년 브랜드 상표권을 출원하고 2016년 상표권 등록을 완료한 상태다. 블리다의 이다은 대표는.. 2020. 4. 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