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 정책

1인 가구 노후준비, 언제 시작해야 할까

by 1코노미뉴스 2021. 7. 7.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혼자 살아가는 사람 수가 600만을 넘어서면서 1인 가구의 노후준비가 중요해졌다. 1인 가구는 부양가족이 없어 생활비 지출이 다인(多人) 가구 대비 적지만, 반대로 소득이 적어 노후대비에 소홀할 수 있어서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연금 3층탑'을 강조한다. 노후준비 시기에 대해서는 '지금 당장 시작하라'며 생애 전반에 걸쳐 노후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조언한다. 

정부도 노후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현행 국민연금공단 중심의 전달체계에서는 한계가 분명해 국민적 인식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1인 가구는 노후준비 자금을 어떻게 마련하고 있을까.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60세 이상 1인 가구 중 51.6%는 본인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마련하고 있다. 2가구 중 1가구는 자녀·친척, 정부·사회단체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다인 가구의 경우 69.9%가 본인 및 배우자가 부담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1인 가구가 충분한 생활자금 준비 없이 노후를 맞고 있는 셈이다. 

KB금융지구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0년 한국 1인 가구 보고서에도 이러한 현실이 드러난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1인 가구 중 은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1인 가구는 22%에 불과했다. 전년 대비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심지어 준비 계획이 없다는 답변은 34.1%로 1.9%포인트 늘었다. 

조사대상 1인 가구가 보는 은퇴 후를 대비한 월 투자·저축액은 평균 123만원이다. 그러나 실제 1인 가구의 평균 월 투자·저축액은 74만원에 그쳤다. 

또 국민연금공단은 현재 중고령자가 노후에 필요한 최소생활비로 1인 기준 117만원, 적정생활비는 165만원이라고 분석했다.

그래프=통계청

전문가들은 1인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에 대해 체감적 인식 부족과 소득 부족을 들고 있다. 특히 1인 가구가 의료비와 간병 비용에서 다인 가구보다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노후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이같은 인식에 동조하며 국민의 노후준비 전달체계 개편을 추진 중이다. 

복지부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노후서비스 전달체계를 지자체가 참여하는 방향으로 개편할 방침이다. 현재는 복지부가 국민연금공단을 중심으로 중앙-광역-지역노후준비센터를 통해 지원 중이다. 

양성일 복지부 제1차관은 "노후준비는 은퇴를 앞두고 하는 것보다 생애전반에 걸쳐 미리 준비 해야 하며, 이에 지자체가 참여해 관련된 기관들의 협력과 연계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전했다. 

1인 가구가 노후자금을 준비하는 방법으로는 뭐가 있을까. 수입이 불규칙한 경우라면 자금여유가 있을 때 목돈이 필요한 상황에 대비해 월 지출액의 최소 3배의 자금을 모아둬야 한다. 

또 돈의 쓰임을 구분해 생활자금을 명확해 분리하고 관리해야 한다. 대출이 있다면 여윳돈으로 금리가 높은 대출, 만기가 짧은 대출부터 우선 상환해 본인의 능력에 맞춰 대출을 관리해야 한다. 소득이 크게 늘었다면 금융기관에 금리인하를 요구할 수도 있다. 

퇴직연금이 없다면 국민연금 추납이나 반납제도를 활용해 연금액을 늘리기를 권한다. 공적연금으로 부족한 노후자금은 노란우산공제, 개인연금 등으로 보충하는 것이 좋다.     

연령대별로 보면 소득수준은 낮은 데 반해 소비성향이 강한 20~30대는 저축을 늘리기보다는 소비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계 재정을 스스로 관리하면서 투자 또는 저축을 통해 목돈을 쌓아야 한다. 40대로 넘어가면서는 안정적인 소득에 기반해 노후준비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장기적인 저축 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50대부터는 퇴직 이후에도 현금을 창출할 수 있는 장치 마련에 나서야 한다. 퇴직 후에도 일할 수 있는 환경이나 임대사업 등 투자를 통한 현금 창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실손의료보험이나 장기요양보험 등을 가입해 추후 의료비 부담 증가에도 대비해야 한다. 

정희선 일본경제 칼럼니스트는 "일본에서는 고령층이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고 이들이 국가 전체 소비의 40%를 차지한다. 고령자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사회와 적극적으로 교류한다"며 "국민의 노후준비 정도가 장기적으로 국가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킨다"고 조언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