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12 1인 세대, 3개월 만에 7만5925세대 증가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주민등록상 1인 세대 수가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910만세대를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3개월 만에 7만5925세대나 늘었다. 7일 행정안전부는 2021년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5170만5905명으로 전년 말보다 12만3118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사상 첫 인구 감소가 발생했고 올해도 3개월 연속 인구 감소세가 이어진 결과다. 세대수로는 2315만7385세대로 전년 말보다 6만4277세대 늘었다. 인구수는 감소한 반면 세대수는 증가한 것이다. 이런한 변화는 1인 세대가 급격히 늘어난 영향이다. 3월 말 기준 1인 세대 수는 913만9287세대로 지난해 말보다 7만5925세대나 증가했다. 2인 세대도 5만8518세대 늘어난 5.. 2021. 4. 7. 미혼 1인 가구 60%가 월세…女 10명 중 6명 "결혼 안해도 좋다"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결혼이 더이상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인식이 반영된 수치가 나왔다. 이는 청년 고용불황과 주거 불안이 겹치면서 자연스레 비혼을 택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소리다. 이들 미혼 남녀 절반 이상은 부모동거 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의 비율은 54.8%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개발원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20%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인구의 세대 유형을 조사한 결과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30∼34세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이 57.4%, 35∼39세는 50.3%로 각각 집계됐다. 40∼44세의 경우 미혼 인구의 44.1%가 여전히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 2021. 3. 31. 중·장년 1인 가구 위한 '복지 서비스' 뭐가 있나 고독사 예방 응급안전알림·일자리 지원·공유부엌 등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1인 가구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된 계층은 중·장년층이다. 정부의 사회·복지정책 대부분이 청년, 노인에 맞춰져 있어서다.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별도의 정책이 부족하다 보니 중·장년 1인 가구는 복지면에서 외면받고 있다. 이에 경제·사회적으로 위기에 놓인 중·장년 1인 가구는 오히려 청년, 노인 1인 가구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로 서울시복지재단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파산·면책을 신청한 채무자 1108명 중 923명이 50대 이상이었다. 또 개인파산·면책을 신청한 채무자 중 50%는 1인 가구였다. 채무발생원인은 생활비부족이 44.5%로 가장 높았다. 주거형태는 81.5%가 소액 임대료를 내는 임대주택에.. 2021. 3. 19. '실직·이혼' 사각지대 놓인 중장년 1인 가구 어쩌나 셋 중 하나 '나혼자 산다' 천안시 중년층 1인 가구, 45.2% 실직 사각지대 놓인 중장년 1인 가구 대책 마련 시급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지난해 이혼한 A씨(56세,남)는 돌싱이다. 슬하에 자식은 없고 고시원에서 생활하고 있다. A씨는 주거·생활비를 제외하고, 모두 저축한다. 올 초 쓰러지면서 더 나이 들기 전에 자금을 늘리기 위해 선택했다. 그는 "나이들어 혼자인 것도 서러운데 돈도 없으면 안될거 같아 몇 푼이라도 저축하고 있다. 역세권 청년 주택에라도 들어가고 싶은데, 50대라 그마저도 안된다. 몸도 마음도 만신창이가 된 지 오래다. 하루하루 그저 버틸 뿐"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셋 중 하나는 혼자 산다. 2019년 처음으로 1인 가구 비중은 30.2%로 30%를 넘겼다. 비혼 인구가 늘.. 2021. 3.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