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자수첩

[기자수첩] 무너져가는 집이 12억원이라고?

by 1코노미뉴스 2020. 6. 5.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지난 2일 서울서부지법에서 진행된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소재 대지면적 46㎡ 단독주택이 1회 경매 입찰에 12억1389만2000원 매각됐다. 감정가(6억688만6000원)의 2배를 넘는 액수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누구라도 탐낼 수밖에 없는 물건"이라고 평가했다. 

주택의 위치가 지하철4·6호선 삼각지역 도보 3분 거리에 있고, 신용산역 북측 1구역 재개발 사업에 묶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용산 정비창 부지에 아파트 8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개발호재' 발표와 동시에 신용산역 북측 1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희소성'이 높아졌다. 

정부는 용산 개발 계획이 인근 부동산 가격을 끌어올릴 것을 우려해 서둘러 용산 일대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 13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 

결국 1980년대에 지어져 40년 가까이 흐른 구옥의 몸값을 12억원으로 끌어올린 것은 정부다. 

문재인 정부 출범 4년차, 그동안 집값은 무려 40% 가까이 올랐다. 서울의 경우 3억원대 아파트가 6억~7억원을 호가한다. 각종 개발호재에 서울 부동산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가 더해지면서 부천, 광명, 수원 등 서울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일대도 집값이 치솟았다. 

한 부동산 전문가에게 집값이 오른 이유를 물었다. 

그는 "집값 상승 요인을 제공했으니 오르는 것"이라며 "GTX를 비롯한 광역교통망에 3기 신도시 공급 등 대규모 수도권 개발, 섣부른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 등이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분석이다. 그만큼 상승요인이 눈에 보인다는 의미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는 남은 임기 동안 벌려놓은 개발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집값은 개발호재 발표, 착공, 준공 시점에서 주로 오른다. 수도권 곳곳에서 집값 상승 요인이 남아있는 셈이다. 

즉 현 정부 출범 이전으로 집값이 하락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정부도 집값을 낮추는 데 의미를 두지 않고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다른 부분에서 의미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 

평범한 회사원이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일은 이제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닐까.


 

[1人1食] 짠맛 가득, 버거킹 '베이컨치즈와퍼' - 일코노미뉴스

늘 같은 밥, 반찬 메뉴에 지겨움을 느껴 간편하고 평소 자주 접하지 않았던 패스트푸드의 대표인 햄버거를 먹기로 했다.선정한 메뉴로는 버거킹의 \'베이컨치즈와퍼\'세트를 주문했다. 가격은 87

www.1conomynews.co.kr

 

"진옥동 책임져라" 신한銀 '라임CI 펀드' 피해자 울부짐... 이사회에 쏠린 눈 - 일코노미뉴스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라임CI 펀드 투자 피해자들의 면담 요청을 거절한 것과 달리 윤종원 IBK기업은행장과 디스커버리자산운용 사모펀드 피해 투자자들 간의 면담이 성사되면서 오늘 열릴 신한�

www.1conomynews.co.kr

 

[정희선 칼럼]고령화, 기회로 만든 일본 드러그스토어 - 일코노미뉴스

일본은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인구감소를 겪고 있으며, 이는 일본 사회와 경제에 심각한 부담을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나 위기 속에서도 기회를 만드는 기업은 있기 마련이다. 일

www.1conomynews.co.kr

 

[정희정의 모나리자] 유럽으로 번진 인종차별 시위, 코로나19에도 '격화' - 일코노미뉴스

2018년 여름은 프랑스 전역이 뜨거웠다. 러시아 월드컵에서 프랑스가 우승하면서 얻기 어렵다는 별을 무려 두개나 얻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프랑스 축구의 승리가 아니라 아프리카 ��

www.1conomynews.co.kr

 

[솔로가 원하는 1인 가구 대책 -돌봄편] "돌봄·상담서비스 문턱 낮춰야" - 일코노미뉴스

1인 가구는 혼자라는 그 자체가 최대 애로사항이다. 심리적 외로움, 사회적 단절, 건강관리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돌봄\'이 필요하다. 그나마 고령자의 경우 정부로부터 복지 서비스를 받고

www.1conomynews.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