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 1인 가구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
9일 서울청년유니온은 '아르바이트 노동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자료를 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해 1월 이후 실직한 청년(만 19~39세) 아르바이트 노동자 102명 중 92명은 '실업급여를 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는 고용보험 미가입이 가장 많고 최소 노동 일수 미충족, 자발적 퇴사처리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조사는 서울에서 거주하거나 일하다가 코로나19 감염 확산(2020년 1월) 이후 실직한 만 19~39세 아르바이트 노동자 1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11월10~24일) 방식으로 진행됐다.
서울 청년이 취한 노동시장의 실태를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데이터다.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생계를 온전히 혼자 감당해야 해 실업급여조차 받지 못하고, 일자리를 잃은 이들은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용시장이 더욱 얼어붙어 청년 빈곤 문제는 더욱 가중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0%를 기록했다. 2018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9% 진입이다. 심지어 일할 의욕을 잃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층이 44만8000명에 달했다.
OECD도 우리나라 노동시장 취약계층으로 청년층을 꼽았다. OECD는 "코로나19로 청년층 고용 비중이 큰 자영업, 임시직, 시간제 일자리가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신규 채용시장까지 얼어붙어 청년층 피해가 더 컸다"며 "청년층이 다시 한번 위험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위기를 타개할 정책 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고용노동부는 청년 일자리 예산에 인색하다. 올해 예산 30조원 중 약 80%를 1분기에 조기 집행할 계획이지만 이 중 청년 디지털 일자리 사업 예산은 4676억원에 불과하다.
OECD는 "한국 정부는 노동시장 규제 완화를 위한 노력을 해나가야 할 것"이라며 "여성, 청년, 고령자, 이주 노동자 등 취약계층을 우한 맞춤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창업기업의 성장, 생존 비율 제고를 위해 지원책을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우리나라 청년 1인 가구(만 29세 이하)는 2019년 기준 117만7000명이다. 1인 가구 전체의 약 20%다. 이 중 취업자는 68만7000가구에 불과하다.
'솔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만가구 규모 새 공공택지 후보지, 2분기 내 발표 (0) | 2021.02.17 |
---|---|
4차 재난지원금 논의 중... 1인 가구 얼마 받나 (0) | 2021.02.15 |
독거노인 대면 지원 한계 보완해야…'돌봄 플러그' 보급 확대 (0) | 2021.02.08 |
국민연금공단, "일산대교 폭리 사실 아냐" 해명 (0) | 2021.02.04 |
[2.4대책] 2025년까지 83만가구 추가 공급…1인 가구는 여전히 소외 (0) | 2021.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