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80

[신축년, 1인 가구가 바란다①] 주거상향 이동 '사다리' 필요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중장년 대상 공유주택 공급 요구 "취약집단 1인 가구 맞춤형 지원 정책 내놔야" 1인 가구 증가에 맞춰 기업들은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인 데 반해 정부 정책은 제자리걸음이다. 코로나19 등에 밀려 1인 가구 관련 사업이 지연되거나 축소돼서다. 이에 1인 가구는 여전히 정책 지원에 갈증을 느끼고 있다. 주거, 복지,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 필요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1코노미뉴스]는 이러한 1인 가구의 목소리를 담아 으로 '신축년 1인 가구가 바라는 정책'을 다뤄봤다. -편집자 주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안정적인 주거지는 삶의 질을 높이다. 이에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방점을 찍고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 그러나 1인 .. 2021. 1. 22.
[연말기획] 신축년 1인 가구 알쓸신잡-(下) 앞서 [1코노미뉴스]는 올해 처음으로 정부가 발표한 1인 가구 정책의 주요 과제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그 결과 단기 과제 중 지연되거나 계획 자체가 틀어진 경우가 여럿 드러났다. 이는 사회·복지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1인 가구에게 실망감을 주기 충분했다. 다행히 중장기 과제는 대체로 순항 중이었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새해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되기를 바라며 신축년 달라지는 제도를 다루고자 한다. - 편집자 주 [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신축년에는 다방면에서 제도적 변화가 이뤄진다. 1인 가구에게 반가운 소식부터 역차별 논란을 불러오는 부분까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세법, 교통법규, 주거·복지 제도 등은 반드시 알아둬야 한다. ◇전기요금 내년부터 1인 가구의 전기요금이 오를 .. 2020. 12. 31.
[연말기획]신축년 1인 가구 알쓸신잡-(上) 앞서 [1코노미뉴스]는 올해 처음으로 정부가 발표한 1인 가구 정책의 주요 과제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그 결과 단기 과제 중 지연되거나 계획 자체가 틀어진 경우가 여럿 드러났다. 이는 사회·복지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1인 가구에게 실망감을 주기 충분했다. 다행히 중장기 과제는 대체로 순항 중이었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새해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되기를 바라며 신축년 달라지는 제도를 다루고자 한다. - 편집자 주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2021년은 문재인 정권에서 추진한 다양한 정책이 결실을 보는 해다.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하는 제도가 많다. 특히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생활기반별 맞춤 정책 일부가 시행되면서 정책 체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내년부터 생.. 2020. 12. 30.
[연말기획] 코로나19로 바뀐 '나.혼.산' -(下) 세계보건기구(WHO) 설립 이후 세 번째 팬데믹을 불러일으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19는 강력한 전염성으로 우리 사회의 많은 것을 바꿨다. 일상이 되어버린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대면 활동의 비대면 전환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변화는 1인 가구의 삶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혼밥' '혼행' '혼캠' 등 우리 생활 속에 혼자가 자연스러워졌고, '1인용' 제품과 서비스가 급증했다. 이에 [1코노미뉴스]는 연말기획을 통해 코로나19로 바뀐 산업지도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사회적거리두기가' 바꾼 소비트렌드 코로나19는 이미 우리의 삶을 뒤바꾸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생활 속에 자리 잡았다.. 2020.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