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코노미뉴스=안지호 기자] 성인 10명 중 4명이 '1인 가구'로 나타났다. 취업포털사이트 '잡코리아'와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은 성인남녀 46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0.6%가 '혼자 살고 있다'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먼저, 연령대별 '1인 가구 비율'은 30대가 48.1%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이상(39.0%), 20대(37.0%)순으로 많았다.
혼자 살게 된 이유에는 '혼자 살아보고 싶어서'라는 답변이 43.9%로 가장 높았다. 이어 '회사·학교가 집에서 멀어서(39.3%)'가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의 경우 49.5%가 '회사나 학교가 집에서 멀어서'라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30대와 40대는 '혼자 살아보고 싶어서'라는 답변이 각 48.7%, 47.6%로 가장 높았다.
1인 가구의 주거형태는 '월세(반전세)'로 답한 응답자가 69.2%로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 1인 가구 중에는 월세가 74.8%로 30대(67.1%)와 40대(61.7%)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거지 마련에 부모님의 금전 지원을 받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결과 20대는 '일부 도움을 받았다(35.8%)'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반대로 '전혀 도움 받지 않았다(35.0%)','주거지를 마련해 주셨다(29.2%)' 등 으로 조사됐다.
반면 30대와 40대 이상에서는 '전혀 도움을 받지 않았다'는 답변이 각 53.7%, 64.6%로 나타났다.
'부모님께 생활비와 용돈을 받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는 80.5%가 '받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20대(64.8%)와 30대(90.7%), 40대 이상(95.7%) 전 연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주택유지비와 부식비, 세금 등 한 달 생활비는 평균 156만원으로 접계됐다. ▲20대 평균 90만원 ▲30대 141만원 ▲40대 이상은 185만원으로 조사됐다.
혼자 사는 생활의 만족도 조사결과 60.1%가 '대체로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매우 만족한다(33.1%)', '불만족(거의불만족+매우불만족)6.8%'순으로 나타났다.
혼자 사는 생활에서 가장 만족하는 점(복수응답)으로는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아서 좋다'는 응답이 59.3%로 가장 높았다. '먹거리·놀거리 등을 마음대로 해서 좋다(47.2%)', '출퇴근·통학 시간이 절약돼 시간적 여유가 생기는 것(33.2%)'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언제까지 혼자 살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는 '결혼할 때까지 혼자 살 것(45.5%)'이라는 답변이 가장 높았다. 이어 '계속 혼자 살 것(29.3%)', '스스로 생활비 마련이 어려워질 때까지(8.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와 30대 중 '결혼할 때까지 혼자 살 것'이라는 답변이 각 40.3%, 57.1%로 높게 나타났으며, 40대 이상은 '계속 혼자 살 것'이라는 답변이 4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솔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북구, 퇴직한 복지전문 인력 활용…고독사 위험군 살핀다 (0) | 2020.07.03 |
---|---|
강남구, 코로나19·폭염 대비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 (0) | 2020.07.02 |
광주시, 1인 가구 30% 넘었다…지원 대응책 마련 (0) | 2020.07.01 |
광주 동구, 1인 가구 지원정책 실태조사 실시 (0) | 2020.06.30 |
'홀로 맞는 죽음' 줄인다...서울 강서구,중장년 1인 가구 실태조사 실시 (0) | 2020.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