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우리 주변에는 주변의 손길을 기다리는 고독한 이웃들이 많이 있다" 채현일 영등포구청장 말이다.
최근 1인 가구 증가로 사회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고독사 문제다.
영등포구가 민․관이 함께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며 지역 내 1인 취약가구 고독사를 막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구는 영등포동, 도림동, 신길1동, 신길3동, 대림3동을 집중 관리 구역으로 지정했다. 이 지역의 1인 가구는 3만 1098가구로 5개동 거주 세대(5만 5688가구)의 55.8%에 해당한다.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5494가구로 9.8%에 달한다.
구는 ▲위기가구 발굴▲지원책 마련 ▲네트워크 형성 등 3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지역 내 고독사 방지에 총력을 기울인다.
각 동주민센터, 복지관, 주민들은 고시원, 옥탑방, 반지하 등 주거취약지역을 중점 조사하며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한다.
또한 은둔형 소외계층이 서면으로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빨간 우체통’ 제도를 문고리에 걸어 안내하고, 동주민센터에 전입신고 시 복지 욕구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1인 위기가구를 발굴하면 고독사 체크리스트로 위험성을 파악하고, 지원책 및 생계비를 적극 마련한다.
또한 이웃 주민, 소상공인, 아파트 관리사무소 직원 등이 ‘이웃 살피미’로서 취약계층을 모니터링한다.
주민들은 워크숍을 통해 1인 위기가구를 이해하고, 정기 가정 방문으로 그들의 어려움에 대해 공감한다.
동주민센터 담당자와 이웃 살피미는▲만남의 날 가정 방문 ▲함께 걸어 좋은 날 ▲힐링캠프 ▲식품 및 생필품 지원 ▲소망나무 만들기 등을 통해 1인 가구의 고립감과 우울감을 달랠 예정이다.
영등포구가 이처럼 고독사 문제에 발벗고 나선 이유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무연고 사망자는 모두 9330명으로, 2014년에 1379명이었던 수치가 2018년 2447명으로 5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보건복지부는 무연고 사망자를 고독사로 추정함에 따라 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채현일 영등포구청장은 “우리 주변에는 주변의 손길을 기다리는 고독한 이웃들이 많이 있다”며 “영등포구는 지역 내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솔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가구 정책방향②] 5대 분야 중장기 고민, 뭐가 담겼나 (0) | 2020.06.26 |
---|---|
[1인 가구 정책 방향①] 취약층 보호 한정…5대 분야 추진과제 설정 (0) | 2020.06.26 |
[단독] 서울시 1인 가구 정책지원단 위촉…1인 가구 지원센터 구축 본격화 (0) | 2020.06.25 |
홍남기 "솔로 이코노미 육성"...1인 가구 정책 TF 가동 (0) | 2020.06.25 |
북가좌동, 반려견 친화형 청년1인 가구 주택 공급 (0) | 2020.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