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적 1인 가구 20대, 경제 불황에 30대 이후로 고착화"
- 질 좋은 일자리 확대·부채 관리·정신건강 돌봄 필요
5월은 전통적인 다인(多人) 가구 중심의 사회에서 가족을 돌아보고 함께하는 날이 많다. 그러나 요즘은 '혼자'인 사람이 10집 중 3집을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1인 가구 증가 추세를 보면 그 비중은 2047년이면 37%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1인 가구 중심의 인구구조 변화는 세계적 흐름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우리 사회와 정부의 인식 역시 하루빨리 바꿔야 한다. 1인 가구가 가족의 한 형태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법·제도와 사회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 가족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가정의 달, [1코노미뉴스]가 새로운 가족의 형태가 된 1인 가구의 삶을 돌아봤다. -편집자 주
[1코노미뉴스=지현호 기자] 20·30대는 1인 가구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2019년 기준 전체 1인 가구의 35%가 20·30대다. 성인이 되면서 부모의 곁을 떠나 독립된 삶을 살아가는 청년 1인 가구의 증가는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이에 20대는 일시적 1인 가구라고 볼 수 있다. 30대로 넘어가면서 경제·사회적으로 안정화되는 과정을 거쳐 2인 이상 가구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1인 가구가 된 원인도 20대는 비교적 단순하다. 학교·취업 문제로 부모와 떨어지면서 독립하게 되는 비자발적인 경우, 경제적으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질 여력이 되면서 자발적으로 독립한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30대로 가면 복잡해진다. 남녀 간에도 차이가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1년 봄호'에 실린 '저혼인 시대, 미(비)혼 남녀 해석하기'를 보면 비혼 인구 중 혼자 사는 30~34세는 25.8%, 35~39세는 32.7%, 40~44세는 38.3%로 나타났다. 이른바 결혼 적령기를 놓칠수록 1인 가구의 삶에 적응하고 혼자 살아갈 확률이 높아지는 셈이다.
이들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공통적으로 '본인의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해서'(남성 18.4%, 여성 23.4%)가 가장 크다. 그러나 남성은 '소득이 적어서'(15.0%), '결혼비용 부담이 커서'(6.0%) 등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여성은 '결혼보다 내가 하는 일에 충실하고 싶어서'(19.3%)라 답하며 자신의 삶에 가치를 높게 뒀다.
'혼자 살아가는 것'이 자연스러워지는 요즘 추세를 보면 30대 1인 가구는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청년 1인 가구는 공통적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을 품고 있다.
서울에 한 대학가에서 만난 대학원생 김아영씨(26)의 경우 생활비 부담에 늦은 시간까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김씨는 학비의 경우 부모님 도움을 받지만, 주거비와 식비 등은 본인이 해결한다. 이러한 김씨의 걱정거리는 금전적인 부분보다는 '미래'다. 당장 생활비는 감당할 수 있지만, 졸업 후 취업에 실패할 것이 걱정이다. 대학원 진학 당시만 해도 원하는 직장에 갈 수 있을 것 같았는데, 현실은 눈높이를 많이 낮춰야 해서다. 김씨는 '무엇 하려고 대학원까지 나왔냐'는 소리가 두렵다.
대학생 최민준씨(31)는 중소기업 청년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받아 1년여 회사를 다녔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결국 회사를 나왔다. 최씨는 전공과 아무런 연관 없는 일에 만족감을 느끼지 못했고, 터무니없이 낮은 연봉과 임금구조를 보면서 퇴사를 결심했다. 자괴감을 느낀다는 최씨는 결혼은커녕 연애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직장인 박성희씨(37)는 안정적인 직장을 확보했지만, 여전히 미래가 불안하다. 박씨는 결혼해 가정을 만들고 싶다가도 터무니없이 치솟은 집값을 보면 '이번 생은 글렀다'는 생각이 든다. 거의 매일 퇴근 후에 혼자 집에서 TV를 보며 혼술을 즐긴다는 박씨는 이대로 쓸쓸히 늙어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에 우울하기만 하다.
요즘 청년 세대는 'N포 세대'라 불린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3포 세대'에 내 집 마련, 인간관계, 희망(꿈) 등이 추가되면서 생긴 말이다.
청년 1인 가구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결국 정부가 나서서 청년 1인 가구의 한숨을 거둬줄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감내하는 우리 사회의 문제가 일자리를 넘어 주거, 복지, 심리·정서적 측면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세부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정책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일차적으로 청년실업률 완화를 위한 일자리 정책에 주안점을 두고 청년 정책을 수행 중이다. 하지만 질 좋은 일자리가 줄면서 청년층 고용 불안은 여전하다. 전문분야 인재 육성도 강조하지만 IT 분야 등에 집중되면서 정책 체감도는 떨어진다.
일자리 대책의 일환으로 청년층의 창업을 지원하고도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심으로 R&D, 사업화자금 등을 지원한다. 그러나 이 역시 실적 위주의 사업진행과 전문성 부족으로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창업자가 30세 미만인 창업기업은 15만2000개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8.7%나 증가한 수치다. 또 올해 1월 30세 미만 창업기업은 1만675개로 전년 동월보다 32.0% 늘었다. 그러나 신규 창업자 상당수는 1년 미만의 준비를 거쳐 창업에 나섰다. 창업에 소요되는 자금 역시 대출이나 가족·지인 등으로부터 빌린 경우가 많다. 섣부른 창업으로 자칫 빚더미에 앉는 청년이 늘어날 경우 후폭풍으로 청년 빈곤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
주식·암호화폐 등에 대한 청년층의 투기적 접근 급증도 문제다. 투자 경험이나 정확한 지식 없이 본인의 투자여력을 초과해 진입하면서 막대한 손실 우려가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청년층이 급전으로 불법 사금융 시장에 노출되는 경우가 생기면서 청년 파산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정신건강 부분에서 정책 지원이 미적지근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 취업난이 악화하면서 일상이 망가진 청년들이 우울증을 겪고 있지만, 전문적 상담 인프라는 부족해서다.
한 서울시1인가구지원센터 상담사는 "청년 1인 가구는 주로 '외로움'보다는 '불안감'을 호소한다"며 "장기화한 경제불황이 미래에 대한 암울감으로 이어지고 결국 부동산·주식·암호화폐 등을 통한 '한탕주의'로 확산하고 있다. 고령층은 연락이 끊기면 사회복지사가 챙기지만, 청년층은 아무도 없어 오히려 더 불안하다"고 전했다.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의달 특집 '1인 가구의 삶' ③노년] 홀로 맞는 죽음..."민폐될까 걱정" (0) | 2021.05.27 |
---|---|
[가정의달 특집 '1인 가구의 삶' ②중장년] 차가운 그늘에 갇힌 중장년 1인 가구 (0) | 2021.05.26 |
['찐' 펫팸족 시대③] "10곳 중 3곳 반려동물 키워"...전문가, 사후 개선책 뒷받침 강조 (0) | 2021.04.26 |
['찐' 펫팸족 시대②] 첨단 기술부터 펫푸드까지…폭 넓어진 '펫코노미' (0) | 2021.04.22 |
['찐' 펫팸족 시대①] 애완 아니고 반려동물…법·정책 변화 속도내야 (0) | 2021.04.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