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인 가구 헬스케어

[1인 가구 헬스케어] 자고 일어나니 굳은 몸…갱년기 '섬유근육통' 주의

by 1코노미뉴스 2020. 10. 15.
  • 완치 어려운 만성질환, 정확한 진단 중요

사진 = 대동병원, 클립아트코리아

[1코노미뉴스=백혜진 기자]

# 50대 주부 A씨는 몇 달 전부터 이유 없이 신체 여러 곳에서 통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갱년기에 접어들고 집안일을 무리하게 해서 일시적인 근육통쯤으로 대수롭지 않게 넘겼는데 최근 들어 하루 종일 몸이 피곤하고 잠이 잘 들지 않거나 자고 일어나면 몸이 뻣뻣해지는 경우가 늘어났다. A씨는 가까운 동네 의원을 찾았으나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근처 종합병원을 찾았는데 뜻밖에도 섬유근육통이라는 생소한 질환으로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다.

# 40대 후반의 B씨는 최근 몇 달 간 어깨에 담이 걸린 것 같은 통증을 느꼈다. 직장에서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 증상이라고 생각한 B씨는 신체적 경고를 무시하고 일을 했다. 어깨를 넘어 전신으로 통증이 확산되고 이로 인해 불면증까지 나타나서야 B씨는 병원을 찾았고 섬유근육통이란 진단을 받았다.

섬유근육통은 신체 여러 부위에 특별한 이유 없이 통증이 나타나는 만성 질환이다. 완치가 어렵고 주로 갱년기 증상 혹은 근육통과 유사해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십상이다.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전신 통증은 물론 두통, 집중력 저하 등 정서장애와 소화불량 등 소화기 증상을 동반하는 골치 아픈 질환이다. 

위 사례처럼 섬유근육통은 일반적인 갱년기 증상 혹은 피로에 의한 근육통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고 진단과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추신경계 통증 조절 이상, 유전, 반복적인 근육 및 힘줄 미세 외상, 자율신경 이상, 수면장애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섬유근육통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를 19개 부위로 나누어 아픈 곳을 표시하는 전신통증지수와 인지 능력 및 기분, 기억력, 집중력, 신체 증상 정도를 측정하는 증상중증도척도를 통해 진단하며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혈액검사, 영상 검사 등을 시행할 수도 있다.

전신통증지수 7점 이상, 증상중증도척도 5점 이상 또는 전신통증지수 3∼6점, 증상중증도척도 9점 이상에 해당할 경우 섬유근육통으로 진단한다.

섬유근육통은 통증, 피로, 수면장애 등과 같은 주요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목적으로 항우울제, 진통제, 근이완제 등 약물치료, 걷기, 수영, 자전거 등 저강도 유산소운동, 기분과 행동 호전을 위한 인지행동요법 등이 시행된다. 

특히 섬유근육통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건강보험 가입자 백만 명당 섬유근육통 진료인원의 68%가 여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50∼70대가 58%를 차지해 50대 이상 여성에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지혜 대동병원 류마티스내과 과장은 “흔히 섬유근육통을 만성피로증후군이나 근막동통증후군 등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엄연히 전혀 다른 질환이므로 류마티스내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만성질환으로 완치가 쉽지는 않지만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면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올릴 수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