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 정책

1인 가구, 코로나19 걸리면 재택치료 받나

by 1코노미뉴스 2021. 7. 12.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사진 = 보건복지부

[1코노미뉴스=정윤선 기자]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증하면서 생활치료센터 포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이 재택치료 대상자에 1인 가구를 포함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일단 정부는 당장 재택치료 활성화를 계획하고 있지는 않다고 선을 그었지만, 향후 코로나19 확산 정도에 따라 1인 가구를 재택치료로 전환할 가능성은 남았다. 

12일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기자 설명회를 통해 "무증상·경증 환자도 생활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게 감염 차단에 효과적이라고 보고 있다"며 "현재 제도화되고 있는 수준에서 운영을 계속할 뿐, 재택치료를 당장 활성화한다는 계획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소아환자, 부모가 감염됐는데 아이를 돌볼 수 없는 환경 등에 재택치료를 적용하고 있다. 재택치료가 결정되면 의료진이 주기적으로 전화상담 하면서 무증상·경증이 아닌 의학적 증상이 나오는지 모니터링하는 형태로 관리한다. 

그러나 지난 11일 정부는 수도권 생활치료센터 병상 부족을 우려하며 젊은층 무증상 1인 가구의 재택치료를 검토해보겠다는 의향을 밝힌 바 있다. 젊은층 1인 가구는 주변에 전파시킬 가능성이 작고 증세가 나빠질 우려가 적다는 것이 이유다. 

이러한 계획이 알려지면서 젊은층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아플 때 다인 가구보다 더 서러운 게 1인 가구인데, 혼자 산다는 이유로 집에 갇혀 치료도 못 받고 사회와 단절을 겪는 것은 억울하다는 목소리다. 또 혼자 사는 만큼 증상이 급격히 악화할 경우 주변의 도움을 받기 힘든 구조인데, 정부가 젊다는 이유로 이를 방치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는 반응이다. 

불만의 목소리가 팽배해지면서 정부는 일단 금일 젊은층 1인 가구 재택치료 방안에 대해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생활치료센터 병상에 여유가 없어지면 언제고 다시 등장할 수 있는 카드라고 경고하고 있다.   

전국 생활치료센터는 총 41개소다. 중수본이 운영하는 6개소,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27개소, 비수도권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8개소이다. 병상기준으로 총 8037병상이며 이 중 2148병상이 남았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계속 병상 규모를 늘리고 있고, 현재까지 문제가 없다. 다만 앞으로 양태가 문제다. 이 수준에서 환자 얼마나 오랜 기간 유지되느냐에 따라 여력이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여성가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통계청과 함께 전국 1만997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20 가족실태조사' 결과 1인 가구 응답자의 30.9%는 혼자 살 때 어려움으로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를 꼽았다. 또 18.3%는 '외로움'이라고 답했다. 

댓글